본문 바로가기
읽기좋은글

물극필반(物極必反)

by 러송 2025. 8. 25.
반응형


"사물이 극에 달하면 반드시 반전한다."
우리나라 속담 "달도 차면 기운다"와 같은 의미입니다.

태조 이성계는 무학대사와 가끔 바둑을 두었습니다. 실력은 대등했으나 이기는 쪽은 언제나 이성계였습니다. 이에 이성계가 말합니다.
''대사는 나무를 보고 있지만, 나는 숲을 보는 중이라오."

무학대사는 잔 수에 밝았으나, 이성계는 대세에 밝아 반상을 두루 살피며 바둑을 두었던 것입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성계와 무학대사가 길을 가다가 한 농부가 산 밑에서 집을 짓고 있는 광경을 보게 되었습니다.

풍수지리에 능한 무학대사는 그 농부가 3년 안에 거부가 될 거라고 말합니다.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들어설 자리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이성계는 반대로 "저곳은 몇 년안에 폐허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두 사람이 내기를 약속합니다.

그로부터 3년 후, 그 곳을 지나던 무학대사는 자신의 생각과 반대로 폐가가 되어 있는 광경을 목격하게 됩니다. 그는 이 사실을 이성계에게 전했습니다. 그러자 이성계는 웃으며 "대사는 풍수지리에는 밝으나 대세를 판단하는 데에는 약하다."고 충고합니다.

물극필반
물극필반


그 곳이 폐허가 된 것은 무학대사의 풍수지리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대사의 예상대로 그 농부는 큰 부자가 되었습니다.

무학대사가 본 것은 여기까지입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부자가 된 사람이 더 이상 이런 골짜기에 살지는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분명히 사람이 많은 곳으로 가서 떵떵거리며 살 것이라고 판단한 것입니다. 그래서 그 집은 폐허가 되어 있었습니다.

무학대사는 풍수지리를 읽는 것에는 능했지만 이성계처럼 사람의 마음을 읽고 결과를 예측하는 데에는 부족했던 모양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이 있습니다. 집터가 명당임을 아는 것까지는 "배움의 영역"이고, 부자가 된 농부가 그 집을 떠날 것까지 보는 것은 "비움의 영역" 입니다.

바둑에서는 이를 "통유"의 단계라고 합니다. "통유"란 채우는 단계를 지나 비움으로써 또 다른 세계가 있음을 알고 이해하는 경지를 말합니다.

현재의 삶보다 더 높은 차원의 삶을 살아가려면 우리는 자기가 형성해 놓은 "자신의 틀"을 깨고 나와야합니다. 그래야 비로소 그 동안 보지 못했던 다른 다양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옳을 수 있어도 전체적으로 틀릴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물극필반! 달도 차면 기웁니다.
지나친 욕심을 부리지 말라는 뜻입니다.

-좋은글 중에서-

♡비워야 또 채우지요!

🎶 https://youtu.be/0R5YK5gzAto?si=x_cnNvFrqFJIdllz

 

아래의 글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련에 감사하는 마음

 

시련에 감사하는 마음

두 사람에게 똑같은 씨앗이 한 톨씩 주어졌습니다.두 사람은 각자 그 씨앗을 심었습니다.한 사람은 자신의 정원에서 가장 토양이 좋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다른 한 사람은 거친 토양의 산에 그

lovingpine.com

 

민생회복 소비쿠폰 자격요건, 신청방법 정리

 

민생회복 소비쿠폰 자격요건, 신청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러송입니다. 최근 물가상승과 소비위축 등 경기가 좋지 않아 많은 소상공인들이 힘들어하고 있는데요. 정부에서는 이들을 돕기 위한 정책을 발표하고 시행할 예정입니다. 오늘은 민

lovingpine.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읽기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련에 감사하는 마음  (1) 2025.08.25
8,000km 사랑의 힘  (0) 2025.08.25
자존심을 버리면 사람들이 다가 옵니다  (1) 2025.08.25
행복은 내 곁에 있다  (1) 2025.08.25
고민하지 않는다  (1) 2025.08.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