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가 문제라는 “붓다의 치명적 농담"에 나오는 이야기를 피력해 보겠습니다.
“스님도 도를 닦고 계십니까?”
“닦고 있지.”
“어떻게 하시는데요?”
“배고프면 먹고, 피곤하면 잔다."
“에이, 그거야 아무나 하는 것 아닙니까?
도를 닦는 게 그런 거라면 아무나 도를 닦고 있다고 하겠네요.”
“그렇지 않아.
그들은 밥 먹을 때 밥은 안 먹고 이런 저런 잡생각을 하고 있고, 잠 잘 때 잠은 안자고 이런 저런 걱정에 시달리고 있지.”
'이전에' 이 글을 읽고는 속된 말로 개 풀 뜯어 먹는 소리라고 여겼지만
'요즘은' 이게 보통 내공이 아니면 힘들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머리를 단순화시키는 작업,
그것은 우연이나 성격이 아니라 부단한 노력과 수련이 있어야 된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우리가 제일 많이 듣는 말이
"요즘은 뭐 하시며 지내세요?"
하면 나는 그때마다 이렇게 대답합니다.
"그냥 놀아요"
그러면 모두들 의아하게 생각합니다.
현직에 있을 때는 새벽에 일어나고 밤 10시 이후에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이 생활 습관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퇴직후에도 변한것이 없지만 그러나 현직에 있을때는 모든 것이 일이였고 그러나 지금은 모든 것이 놀이가 됐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일을 놀이처럼 하는 내 생활이 이해하기 힘들겠지만 나는 놀이가 일이고 일이 놀이라고 생각하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그냥 놀아요" 가 내 대답입니다.
오래전에 "버틀런트 러셀"의 "게으름에 대한 찬양" 이란 책을 읽은 적이 있는데 그 때는 별로 마음에 와 닿지 않았는데, 세월이 흐르고 보니 "찬양"의 의미를 알 것 같습니다.
우리 모두는 너무 바쁘게 삽니다.
"나 요즘 너무 바빠, 바빠서 정신이 없어" 이렇게 타인에게 말하면 뭔가 좀 있어보이기도 하고 바쁜것을 미덕으로 여기는 사회에서 살고 있는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 사회의 일원으로 오랫동안 살다보니 우리 스스로도 뭔가 할 일이 없으면 불안해지거나, 불러주는 이가 없으면 소외감을 느끼거나, 늘상 무언가를 해야하고, 무엇인가에 쫓기듯 살아야 오히려 마음이 편하게 느껴지는 것에 익숙해져 있는것 같습니다.
"러셀"이 말하는 게으름이란 개미와 베짱이에서의 베짱이처럼 놀고 먹는 게으름이 아니라 게으름이라는 존재의 존엄성을 놓치지 않기 위한 여유로움과 여백을 말하는 게 아닌가 싶네요.
"행복한 창조의 시간은 게으름으로부터 나오며
행복해지려면 게을러지라"는 "러셀"의 처방이 저는 왠지 마음에 듭니다.
너무 나서지도 말고, 너무 물러서지도 말며,
너무 나서면 가벼운 사람으로 여길 것이고
너무 물러서면 무시할 것이다.
결국 "너무"가 문제입니다.
우리 너무 바쁘게 살지말고 조금은 여백이 있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야 보지 못했던 것도 보이고
보이지 않았던 것도 보일것이며
그러면 행복도 볼 수 있을지 모르니까요.
우리 모두 삶을 너무 애닯아 하지도 말고
그냥 주어진 대로 흐르는 대로 살아가 보입시다.
-좋은글 중에서-
♡일상생활을 즐겁게 사는 것!
♡쉽지않지요!
🎶블루진/서글픈 사랑
좋을 때는 몰랐네... - YouTube
아래의 글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성인의 길
"왕이 되는 것보다 더 높은 성공의 경지에 올랐다"는 뜻으로 쓰는 한자가 ''성'(聖)입니다.음악에서 최고 경지에 오른 사람을악성(樂聖), 바둑 최고의 경지의 기성(棋聖), 시(詩)의 최고 경지의 시
lovingpine.com
예금자보호한도 1억원으로 증액 정리
안녕하세요 러송입니다. 최근 정부에서 올해 9월부터 예금자보호한도를 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증액한다고 발표했는데요. 24년만에 바뀌는 예금자보호한도입니다. 오늘은 예금자보호한도 1억원
lovingpine.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읽기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의 길 (0) | 2025.08.16 |
---|---|
화병 (3) | 2025.08.16 |
1%의 긍정이면 충분합니다 (0) | 2025.08.16 |
인생의 세가지 싸움 (1) | 2025.08.16 |
자동차 바퀴는 어떻게 돌아가나요? (1) | 2025.08.16 |
댓글